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빅뱅 우주론 전편에서 알아보았던 우주의 탄생이론 중 대폭발, 빅뱅 우주론에 대해서 조금더 알아보겠다. 빅뱅 우주론이란?대폭발, 혹은 빅뱅 우주론은 천체물리학에서 우주의 탄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최초의 우주는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37억년 전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말한다.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오늘날 존재하는 물질과 공간, 에너지 등 모든 것들은 특이점이라고 하는 작은점에 갇혀 있었다. 그리고 우주가 폭발하는 순간 작은점에서 물질과 공간, 에너지가 폭발과 함께 멀어지기 시작한다. 이 물질과 공간, 에너지들이 멀어져가면서 은하계와 은하계 내부의 천체들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빅뱅 우주론은 이론의 전제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허블의 관측을 근거로 한다. 또 은하의 이동속도.. 더보기
우주의 탄생 그리고 팽창 우주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많은 사람들이 한번쯤은 해보았을만한 의문이다. 그래서 우주의 탄생과 팽창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우주란?우주의 사전전 의미는 우주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만물의 근원이라 정의 한다. 우리나라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과학에서의 우주는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 그리고 사건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는 시공간의 총체라고 정의한다.사전적 의미는 이렇고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는 지구를 포함한 모든 세상 이라고 생각하면 맞을 거 같다. 우주의 탄생현대의 우주론에 따르면 태초에 세상엔 아무것도 없었다. 물론 기독교에서도 태초엔 아무것도 없었다고 한다. 일단은 과학적으로만 접근해서 이야기.. 더보기
행성의 거리 구하기 이전까지 천문학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태양계 내의 행성과 우주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다.이번엔 조금 머리아프겠지만 행성의 거리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골치아프면 패스. 공전궤도로 행성의 거리 구하기학창시절 수학시간에 배운 공식들이 몇가지 들어간다. 그리고 각 행성의 공전주기를 안다면 행성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공전주기로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케플러의 제3법칙 이라고 한다. 케플러의 제3법칙케플러의 제3법칙은 행성의 거리와 공전주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이다.거리의 세제곱은 공전주기의 제곱과 같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를 기준으로 한 천문단위 AU를 단위로 사용한다. "1AU = 지구와 태양의 거리"우리가 1m 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하듯이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더보기
은하의 기원과 진화 하늘의 빛나는 수많은 별들은 인류가 탄생하기 훨씬 전부터 존재 했다. 고대인류나 원시인들도 하늘에 떠있는 별들을 보면서 소원을 빌기도 하면서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별들이 무리지어 있는 은하를 보고 많은 별들이 모여있다고 생각 했을 수도 있다.수많은 별무리 은하에 대해 알아보겠다. 은하란?사전적 용어의 은하는 항성, 밀집성, 성간물질, 암흑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다. 겔럭시는 은하수를 의미하는 갈락시아스에서 유래되었다.은하들은 작은 것들은 1천만개 이하의 항성들로 이루어져있고, 커다란 은하는 100조개 이상의 항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항성들은 모두 은하의 질량중심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의 태양도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천체들을.. 더보기
밤하늘의 별동별 유성 유성 들어는 봤고, 하늘에서 떨어지는것이다라는 것도 안다. 하지만 이게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나는 것인지는 잘 모른다. 밤하늘의 별똥별 유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유성이란?유성은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는데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을 형성하는 것이다. 유성은 지구의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이다.유성은 앞편에서 살펴본 혜성이나, 소행성 등 천체에서 떨어져 나온 돌가루나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같은 것들로 유성이 되는 유성체는 대부분이 모래알 정도로 작은 것들이다.이러한 것들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데 밤하늘에서는 빛이 떨어지는 모습으로 보인다.유성은 앞에서 살펴본 행성이 아니라 .. 더보기
혜성처럼 나타났다!! 혜성 태양계 내에 있는 8개의 행성들, 왜소행성, 소행성 그리고 다른 존재하는 천체들을 살펴보는데 "혜성" 이라는 이름을 보자마자 "혜성처럼 나타났다!" 라는 말이 떠올랐다. 혜성처럼 나타난 해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혜성이란? 혜성은 취성, 살별, 꼬리별이라고도 불리운다. 혜성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고 있다. 혜성에 대한 사실을 모르던 사람들은 혜성이 나타나면 홍수나 기근, 전염병 등 재난을 불러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기기도 하였다. 이는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하여 다음 출현시기를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 중 하나임을 입증하게 됨으로서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핼리가 계산한 핼리 혜성 감이 올 것.. 더보기
소행성대 태양계 내 8개의 행성들 그리고 왜소행성들 이것들만 존재하는가? 물론 아니다 수많은 천체들이 존재하는데 이번엔 소행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소행성이란? 소행성성은 화성과 목성의 궤도 사이에서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들을 말한다. 이러한 정의를 해석하자면 목성보다 안쪽 궤도에서 공전을 하는 천체 중 수성보다 작은 천체들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100% 맞는 말은 아니더라도 이해하기는 편하다. 지금까지 발견된 소행성들이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구역을 소행성대라고 부른다. 물론 목성의 궤도보다 바깥쪽에도 소행성은 존재한다. 목성 트로이 소행성군이라든지 하는 소행성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이 지역에 존재하기에 소행성들은 이 지역에 존재 하는데 이러한 소행성대에 대해 알.. 더보기
왜소행성 태양계에는 8개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만 있나? 그렇지 않다. 수많은 소행성들과 왜소행성도 있다. 그런데 왜소행성은 단어가 생소하다. 명왕성이 포함된 왜소행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왜소항성이란? 왜소행성은 기존에 없었지만 현재는 사용하고 있는 천문학에서 행성을 분류하는 기준이다. 이는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이다. 2006년 8월 24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의 제 26회 정기총회에서 연맹 창설이래 가장 큰 이슈가 된 결정을 하게된다.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아홉번째 행성 명왕성, 명왕성 바같에 제나로 불리던 에리스 이 세개의 천체들을 왜소행성으로 새롭게 분류하는 의결을 한다. 이 때 왜소행성에 대한 정의를 아래와 같이 한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