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2020년은 2015년에 이어 인구주택총조사가 실시된다.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무엇을 조사하고,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는지, 그 내용을 어떤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인지 살펴보겠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에 사는 모든 사람들과 주택의 규모 및 특징을 알기 위한 국가의 기본적인 통계조사이다.

2015년에 이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20% 표본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방식은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등록센서스 방식과 전국민의 20%의 표본가구 현장조사방식이 적용된다.

예전에는 전 가구에 대한 현장조사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하였지만 주민등록, 가족관계증명 등 정부에서 보유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진행하고, 현장 조사 항목에 대해서도 대면이 아닌 PC와 모바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도 진행된다.


또 기존 대면조사는 응답자기 종이로 된 표를 장성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번 조사는 처음으로 종이 없는 전자조사로 실시한다고 한다. 종이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2015년 조사 대비 24억원이 절감되고 기존 조사보다 3개월 가량 빠르게 공표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래도 발표는 매우 느리게 느껴진다.

통계청에서는 2021년 9월 ~ 12월 까지 주제별로 순차적으로 발표를 한다고 한다.


조사원의 대면조사는 태블릿으로 진행한다고 하는데 이를 위해 2만 8천대의 태블릿을 구매하고, 학교에서 1만대를 대여하여 진행한다고 한다.


조사표본

조사표본으로 선정되면 집으로 안내문이 발송이 된다.

그리고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할 수 있다.

10월 15일 부터 31일까지 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으로 참여를 진행 할 수 있고, 이 기간에 참여하지 못하면, 11월 1일 부터 18일까지 조사원이 방문하여 조사를 진행한다. 이 경우에도 원한다면 비대며느로 진행이 가능하다.


참여방법

모바일

내문에 QR코드가 있는데 이걸 통해 즉시 연결이 되어 참여가 가능하다.


인터넷

집으로 배부된 안내문에 있는 참여번호를 입력하여 참여가 가능하다


전화

인구주택총조사 무료 콜센터(080-400-2020)으로 전화한 후 1번 전화조사로 연결하여 참여번호를 불러주고 참여가 가능하다.

전화의 경우 통화가 가능한 날짜와 시간을 예약하면 맞춰서 전화를 준다고 한다.


조사항목

표본 조사항목은 55개로 기존에 없었던 항목이었던 '안전과 환경', '반려동물', 활동제약돌봄', '1인가구 사유' 등이 새로운 조사항목에 포함되었다.

55개 항목 중 10개는 행정자료로 대체되어 실제 현장조사항목은 45개 이다.


조사항목의 특징



외국인 다문화

국적, 입국 연월 등 다문화 사회 파악 및이민자 2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


인구이동

출생지, 1년전 거주지, 5년전 거주지 등 인구이동의 시기 및 규모파악, 지역별 인구 분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통근, 통학 등 교통대책, 교통망 건설 및 도시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족구조 변화

1인 가구 사유, 혼자 산 기간 등 가구 분화 및 1인 가구 형성 사유, 기간 파악을 통해 가족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반려동물 보호 및 복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주거 거처

거처의 종류, 주거용 연면적, 건축연도 등 주거에 대한 실태파악으로 주택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


안전한 사회

주택용 소방시설, 마시는 물 등 국민의 안전 및 수자원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



표본조사 항목

현장조사 45개 항목

성명, 성별, 생년월일, 가구주와의 관계, 국적, 입국연월, 교육 정도, 교육 영역, 출생지, 아동 보육, 활동 제약, 활동 제약 돌봄, 통근,통학 여부, 통근,통학 장소, 이용 교통수단, 통근,통학 소요시간, 경제활동상태, 종사상지위, 산업, 직업, 현 직업 근무연수, 근로장소, 혼인 상태, 혼인 연월, 출산 자녀 수, 자녀 출산 시기, 추가 계획 자녀 수, 자녀 출산 시기, 결혼 전 취업 여부, 경력 단절, 사회활동, 생활비 원천, 가구 구분, 1인가구 사유, 혼자 산 기간, 반려(애완)동물, 마시는 물, 소방시설 보유 여부, 사용하는 방의 수, 난방시설, 주차장소, 건물 및 거주층, 거주 기간, 주거 전용 영업 겸용 여부, 점유 형태, 임차료


행정자료 10개 항목

1년 전 거주지, 5년 전 거주지, 주거시설 형태, 타지 주택 소유 여부, 거처의 종류, 총 방 수, 주거시설 수, 주거용 연면적, 대지 면적, 건축연도



2015년 인주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알아봤던 성씨의 종류가 5,582개 였는데 2020년에는 얼마나 늘어났을지가 궁금하다.